구름 2

구름 분류

직전 글에 일반적인 구름의 형태에 따라 구름을 세 가지로 분류했다. (구름 형성) 이번에는 고도에 따른 구름 분류를 해보려고 한다. 구름 분류의 두 번째 측면인 고도를 살펴보면 고층, 중층, 하층의 세 고도로 나누어진다. 상층운(high clouds)은 대류권에서 가장 높고 추운 지역에서 형성되는데. 일반적으로 구름 밑면 고도가 6.000m 이상이다. 이들 고도에서는 기온이 대개 영하여서 고층운은 일반적으로 얼음 결정이나 과냉각 물방울로 이루어져 있다. 중층운(middle clouds)은 2,000~6,000m 고도에 자리 잡고 있으며, 연중 시간과 대기의 기온의 연직 분포에 따라 물방울이나 얼음 결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하층운 (low clouds)은 약 2,000m 고도까지의 지표 가까이 형성되며..

기상학 2023.02.14

구름 형성

구름(clouds)은 지구 표면의 상공에 떠도는 수십억 개의 미세한 물방울 그리고/또는 작은 얼음 결정들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구름은 하늘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나며 때때로 장관을 연출하기도 할 뿐 아니라 대기 상태에 대한 가시적인 징후를 제공하기 때문에 기상학자들에게 지속적인 관심 대상이 되어왔다. 응결이 구름을 생성하기 위해서는 공기가 포화에 도달해야 하고, 수증기가 물방울을 형성하기 위해 응결될 수 있는 표면이 존재해야 한다. 공기는 어떻게 포화에 도달할까? 공기의 포화는 상층의 공기에서 두 방법 중 하나로 일어난다. 1. 공기를 이슬점 온도까지 냉각시킨다. 우선 공기를 이슬점온도까지 냉각시키면 응결과 구름 형성이 이루어진다. 공기가 상승하여 단열냉각(adiabatic cooling)에 의해 이슬점온..

기상학 2023.02.14